본문 바로가기

둘러보기

이쁜 음악플레이어 "CD Art Display" 둘러보기



CD Art Display 는 음악 플레이어의 케이스와 비슷하다.
스킨이 다양하고 이쁘기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찾고 있다.

기본적으로 음악의 타이틀, 앨범 정보, 아티스트, 음반 발행연도 등.. MP3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정보를 나타낸다.

CD Art Display 의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보자..

CD Art Display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링크로 가서 다운로드 받자.
http://www.cdartdisplay.com/index.php?categoryid=14
설치가 끝나면 CD Art Display 실행시켜보자, 기본스킨과 함께 오른쪽 트레이 아이콘이 보인다.

오른쪽 트레이 아이콘을 마우스 우측클릭해보자.
간단한 영어들이 나열 되어 있다..
위의 간단한 영어도 모른다면, CD Art Display 를 사용하지 말자.
CD Art Display 는 한국어를 전혀지원하지 않는다.
자, 이제 주목하여야 할부분은 Skin, Options 부분이다.
윈도우테마의 스크린샷을 보고 따라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다.
마음에 드는 CD Art Display 의 스킨을 받고 C:\Program Files\CD Art Display\Skins 에 압축이 되어 있으면,
압축을 풀고 넣으면 된다. 그리고 위 스샷에 Skin 부분에서 다운로드 받은 스킨을 적용하면 된다.
마음에 드는 스킨을 적용했으면 설정을 바꾸자.
Options 을 클릭한다.


Player 탭부터 차근히 보자..여러가지 탭중 Select player 탭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플레이어를 등록한다.
그럼 아래 Player location 에 자동으로 나타난다.
만약 나타나지 않는 경우 직접 연결시켜주자.
그리고 Start player when CD Art Display is started 부분에 체크를 하자. 
CD Art Display 를 실행시키면 음악 플레이어 나타난다는 뜻이다.
CD Art Display 따로 실행, 플레이어 따로 실행하고 싶다면 체크 안해도 된다.
아래 Play when CD Art Display is started 를 체크하면 CD Art Display의 플레이어가 나타면 음악도 같이 재생된다. 
Enable multimedia keyboard 는 영어 그대로 멀티미디어 키보드 활성화다. 

다음,  Interaction 

여기서 Exit CD Art Display when player is closed 를 체크하자.
음악플레이어를 끄면 CD Art Display 도 끈다는 말이다.
이 탭에서 나머지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다음, WLM

WLM 이 멀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할것같다..
WLM 은 윈도우 라이브 메신져의 약자이다.
외국 사람도 줄여서 많이 사용하나보다.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은 많이 못봤지만.. 많은 사람이 쓰는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써놓을 줄은 몰랐다..
WLM 이건 한국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패쓰..
간단히 설명하면 윈도우 라이브 메신져와 연동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하나의 예를 들면 네이트온과 싸이월드 그리고 음악 플레이어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겟다.

다음, General
일반 설정부분이다.
컴퓨터가 좋은 것이 아니라면 왠만하면 건드리지 말자..
건드려 봤자.. Mouse wheel volume control 정도 체크하자.
마우스로 볼륨을 조절하는 것이다.
나머지는 신경쓸 필요가 없다.
언어 부분에 나중에 코리아 버젼이 나오면 쓰면 되겠다.

다음, System tray

오른쪽에 실행되고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설정하는 곳이다.
일단, 트레이 아이콘이 실행되기를 바란다면 Enable eystem tray 를 체크 하자.
Cover as tray icon 은 커버(표지)가 트레이 아이콘으로 실행되게 하고 싶으면 체크하면 된다.
Update system tray tooltip text 는 트레이 아이콘에 플레이중인 노래 정보표시를 바라면 체크 하자.
나머지는 패쓰 ~ 중요하지 않다..

다음,Hotkeys

단축키 설정 부분이다 단축키를 설정하고 싶으면 설정하면 된다.
굳이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까지는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혹시 모른다면 댓글을 남겨주길바란다.

다음,Front cover

커버 즉, 이쁜 스킨에 보이는 이쁜 사진이다.
여기선 한국어로 바꾸어 표지라고 이야기한다.
여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단, 난 iTunes 를 사용하기때문에 iTunes 가장 위에 위치하게 했다.
나머지 %songfolder%folder.jpg 와 같은 건
표지가 나타나는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
나머지 기능 하나하나를 설명하기에는 너무 힘들기에 패쓰한다.

간단히 iTunes 를 사용하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표지가 나오지 않는다고 왜 안나오냐고  물어보는 사람이 많다.
물론 나도 여러곳에 물어보고 다녔다.
하지만 확실한 대답은 없었다.
그래서 알아냈다.
처음 위에서 말했듯이.. CD Art Display 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일본어, 중국어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프로그램자체가 한글이라면 전부 글씨가 깨져 보이거나 잘나타나지 않는다.
한글이 재대로 보이는 건 폴더 경로 정도이다.
 
그렇기때문에 모든 음악파일의 태그 를 영어로 바꾸어주어야한다.
파일의 제목은 그대로 놔두어두 괜찮으나..
나머지 MP3 파일의 모든 태그는 영어로 바꾸어야한다.

이렇게까지 이야기했는데 잘 모르는 사람이 있으니 스샷으로 설명한다.
이글을 쓰게 된 계기가 이것때문이기도 하다-_-!

스샷을 보는 것과 같이 해주면 된다. 일단, 제목,아티스트,앨범,장르, 앨범 아티스트 등등.. 모든 태그란에 영어를 입력하자.
그리고 표지가 없다면 표지를 다운로드하여 넣도록하자.
태그 이외 파일 이름은 한국어로 하여도 상관이 없다. 하지만 CD Art Display 의 스킨에는 한글이 표시되지 않고..
이상한 특수문자로 보이니.. 보기 싫으면 그냥 영어를 사용하자...
왜 음악만 들으면 되지 멋하러 태그까지 바꾸냐 하는 사람이 있다.
안 바꾸고 한글로 놔두면, 스킨에 표지가 안나온다.
CD Art Display 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쁜 스킨과 더블어 표지가 나타나기때문에 사용하는 것이다.

위 스샷의 MP3 태그 편집기 이름은 Mp3tag v2.43 버젼이다.
무료이니 부담없이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자.(아래링크)
http://www.mp3tag.de/en/download.html
사용법은 한글어가 지원되고 지극히 단순하니..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

다음, Back cover
표지 뒤의 이미지 설정이다.
필요하다면 사용하면 되지만, 스킨이 뒤 표지를 나오게하는 스킨이 없기때문에 사용하는 일이 없지하는 생각이 든다.

다음, Download

표지를 웹에서 찾아다운로드 가능한 기능의 설정이다.
위에서 태그를 편집해서 사용한다면 이 기능은 필요가 없다.
특히, 한국앨범 표지는 CD Art Display 옵션에서 나오는 사이트와 정보가 맞지않다.
외국 노래도 재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굳이 다운로드 하고 싶다면, 사용하면 된다.
나머지 설명은 패쓰 ~ 왜 필요없으니까 ㅠㅠ!

만약, CD Art Display 가 한국어를 지원한다면, 표지 사이트 또한 한국앨범의 표지 사이트를 표시할것이다.
그때를 그다려보자.!

다음, Lyrics
가사를 검색하여 나타내게 해주는 설정을 하는 곳이다.
이 것도.. 외국음악은 그렇저렇 음악들의 가사가 많지만..
한국음악은 안나온다..
그러므로 패쓰한다... 사용하지 안할거니까 ㅠㅠ!!
만약, 사용하여 다운로드 받더라도, 발음 표시되지 않는 가사를 한국사람의 몇 % 가 따라부를까..?

다음, Troubleshooting
기타 설정 부분 되겠다.
여기서 설정해야할 부분은 Refresh cover after track change 만 체크하자.
음악 트랙이 바뀔때, 표지를 새로고침하여 바꾼다는 말이다.

나머지 설정 Slideshow는 말글대로 슬라이드 쇼다..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넣고 폴더를 지정하면 된다!

이상 CD Art Display 에 대한 간단한 글이다.
간단하게 적을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길다.
나중에 추가할 부분은 더 추가할 예정이다!
잘 사용하고 이쁜 컴퓨터 바탕화면을 위해 화이팅!